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5 세제개편안이 확정 발표되었습니다. 다자녀 가구에 대한 세제 혜택이 더욱 넓고 두터워졌습니다. 2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의  카드 공제 최대 400만원까지 늘어났습니다. 뿐만 아니라, 초등 1·2학년을 둔 다자녀 가구에 예체능 학원비 세액공제, 월세 공제 확대, 보육수당 비과세 혜택까지 확대됐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다자녀가구 카드 공제를 비롯해 저학년 예체능 학원비 세액 공제 신설, 월세 공제의 특징, 보육세 비과세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다자녀가구신용카드공제,저학년학원비

목차

  1. 다자녀 가구 카드 공제, 얼마나 늘어났나?
  2. 초등학교 예체능 학원비 세액공제 신설
  3. 월세 공제 조건 완화, 누가 혜택 받나?
  4.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확대

1. 다자녀 가구 카드 공제, 최대 400만원까지!

“아이 둘 키우는데 카드값만 봐도 한숨 나오죠?”
그 부담, 약간 줄어들 것 같습니다.
정부가 발표한 2025년 세제개편안의 핵심은 다자녀 가구 세금 혜택 확대입니다.

지금까지 신용카드 소득공제 기본한도는 300만 원(총급여 7000만 원 초과 시 250만 원)이었어요. 하지만 개정안에 따라, 자녀당 50만 원씩 최대 100만 원이 추가됩니다.


👉 자녀 2명 있는 가구는 카드 공제 400만 원까지 가능!

예시: 총급여 6천만 원, 자녀 둘인 직장인 A씨.
이전에는 300만 원까지만 공제됐지만, 이제는 400만 원으로 올라갑니다. 연말정산에서 약 15만 원 절세 효과! 작아 보여도 큰 차이가 납니다.

 

 

다자녀가구신용카드공제, 월세공제

 

 

 

2. 초등학교 예체능 학원비,  세액공제 

지금까지는 초등학생의 학원비는 공제 대상이 아니었어요. 교육비는 공제됐지만, 예체능 학원비는 안 됐습니다. 그런데 2026년 부터는 달라집니다.

 

초등학교 1·2학년의 예체능 학원비가 교육비 세액공제에 포함됩니다.
태권도, 피아노, 줄넘기 학원… 모두 해당됩니다. 


세액공제율은 15%. 이제 아이가 피아노 학원을 다녀도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가구신용카드공제,보육수당비과세

 

 

 

3. 월세 공제 조건, 이렇게 바뀐다

월세 공제도 달라집니다.
지금까지는 가구 단위로 연 소득 8000만 원 이하, 주택 전용면적 85㎡ 이하에서만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자녀 가구, 특히 자녀 3명 이상이라면 지역 제한 없이 100㎡ 이하 주택까지 허용됩니다.

게다가 맞벌이 부부가 직장 때문에 따로 거주하는 경우에도  부부 각각 연 1000만 원 한도 내에서 공제 가능합니다. 
월세 부담 큰 가정에게는 확실히 유리해요.

 

 

다자녀가구보육수당비과세

 

 

4.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확대

지금까지는 월 20만 원까지만 비과세였지만, 이제는 자녀 1명당 월 20만 원으로 바뀝니다. 자녀가 둘이면 월 4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 연간으로 따지면 36만 원 정도 세금이 줄어듭니다.
다자녀 가구에게는 꽤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다자녀가구신용카드공제,월세공제

 

 

 언제부터 적용될까?

이 모든 혜택은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기재부는 8월 입법예고 후 국무회의와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에요.


핵심 정리

다자녀 가구 카드 공제: 기본 300만 원 + 자녀당 50만 원(최대 400만 원)
예체능 학원비 세액공제: 초등 1·2학년 학원비도 15% 공제
월세 공제 확대: 100㎡ 이하 주택까지, 맞벌이 부부 각각 적용
보육수당 비과세: 자녀당 월 20만 원
적용 시점: 2026년부터

 

2025년 세제 개편안이 경기침체로 빠듯한 살림살이를 하는 다가구에겐 보탬이 될 전망입니다. 나아진 제도가 있다고 하더라도 대상자가 권리행사를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니 위의 핵심적인 4개의 내용을 잊지 마시고 꼭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